top of page

BN

  • unprod642
  • 2020년 12월 26일
  • 3분 분량

직무설계(job design)에 대한 검토 DownLoad




직무설계(job design)에 대한 검토


직무설계(job design)에 대한 검토


직무설계(job design)에 대한 검토


Ⅰ. 직무설계의 의의


1. 직무설계의 의의와 중요성


직무설계란 조직내 다양한 과업들을 하나의 직무로 조직화하는 과정으로 직무의 내용, 기능, 관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문제이며, 직무가 제대로 설계되어야 사람과 직무간의 적합도(Fitness)를 높여서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직무설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직무만족 및 모티베이션 증대, 이직및 결근율 감소, 제품품질 향상, 작업생산성 향상, 인간관계 개선 등 여러 가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직무설계는 조직의 생산성과 종업원의 동기부여 및 집단사기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전략적 차원에서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직무를 어떻게 설계하는가에 따라서 ‘직무 만족 및 모티베이션’정도가 현저히 차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직무설계이론이 전개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직무설계는 직무구조 설계를 말하지만 넓게 봐서 직무과정과 시간 설계까지 포함된다.


2. 직무설계이론의 전개“ 전통적 직무설계와 근대적 직무설계

직무구조설계는 전통적 직무설계와 근대적 직무설계로 구분할 수 있다.전통적 직무설계가 보다 낮은 욕구수준에서의 기술적인 욕구충족에만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 반면, 근대적 직무설계는 직무담당자의 기술적·조직적 욕구뿐만 아니라, 사회적·인간적 욕구까지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직무내용, 작업방법 및 작업 상호간의 관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진통적 직무설계는 직무수행 방법과 업무배분을 가능한 단순화·표준화·전문화함으로써 생산의 효율성과 경제적 합리성만을 추구했으나 결과적으로 직무담당자의 불만과 소외감을 증대시켰다. 그런데 인간관계론이 등장하면서 사회적·개인적 욕구가 경제적 욕구에 못지않게 종업원의 직무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새로운 경향의 직무설계가 시도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행동과학적 직무설계는 양적·질적 직무확대화를 통한 근로의욕 고취와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였다. 더 나아가 사회기술시스템적 직무설계이론이 등장했는데, 이는 인간관계론이 간과했던 기술적 제약요인을 해소하고, 사회문화 및 개인과 집단의 역할 등을 고려한 새로운 직무설계이론이다.


Ⅱ. 전통적 직무설계 : 직무전문화 (job specialization)


1. 직무전문화의 의의

직무전문화는 한마디로 한 작업자가 하는 여러 종류의 일을 그 숫자 면에서 줄이는 것이다. 직무설계에 관한 논의의 시작은 18세기 아담 스미스로부터 비롯되었는데, 그의 이론 중 하나가 분업에 의한 전문화의 효율성에 관한 것이다. 이후 20세기초 아담 스미스의 ‘노동의 분업’을 기초로 한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역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난 비능률과 저생산성을 극복하기 위한 직무설계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과학적 관리법에서 직무설계의 근간이 되는 것은 단순화(simplification),표준화(standardization), 전문화(specialization)를 추구하는 소위 3S개념이다. 이처럼 노동의 분업을 근간으로 하는 전통적 직무설계방식을 직무전문화라 말할 수 있다.


2. 직무전문화의 효과와 한계

(1) 효과

능률 및 생산성 향상을 그 효과로 들 수 있다.

(2) 한계

직무전문화는 지루함 , 피로감, 도전감 및 가치 상실, 인간성 상실의 부작용이 있다.


Ⅲ. 현대적 직무설계


1. (협의의) 직무확대(job enlargement)

1) 의의

직무확대는 한 작업자가 수행하는 과업의 수를 수평적으로 확대하되 권한 내지 책임은 증가시키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2) 효과

① 직무에 대한 단조로움, 지루함, 피로감 감소

② 기술 다양성 증가 통한 작업자의 기능 폭 확대

③ 직무만족의 증가, 이직률 및 결근율 감소

3) 한계

① 흥미 없고 단조로운 직무 추가된 경우 실망이 증대할 수 있으며

② 작업자의 성장욕구의 정도에 따라서 실패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다.


2. 직무 충실화 (job enrichment)

(1) 의의

직무 충실화는 수직적 직무 확대를 통해 의사결정 재량과 책임을 부여하는 직무설계방법이다. 달리 표현하면, 직무충실화는 관리기능의 일부인 계획과 통제를 종업원에게 위임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이는 허쯔버그의 2요인이론을 기반으로 성취감, 타인의 인정, 도전감 등 동기요인(만족요인)을 충족시키기 위한 직무설계방법이다.

(2) 효과

① 작업자의 단조로움, 싧증, 피로감 감소

② 직무수행자의 사기증진 및 창의력 개발 촉진

③ 직무수행자 능력신장 기대

④ 직무수행 범위의 수직적 확대 통한 직무의 완전성 증대

(3) 한계

① 양질의 의사결정을 위한 추가적 교육훈련 프로그램 요청

② 확대된 자유재량 발휘했을 때의 비용 발생

③ 관리자들의 반발 예상

④ 소극적이고 피동적인 X이론형 작업자에게 오는 부작용


3. 직무특성이론(job characteristics theory) : Hackman/Oldham Model

(1) 의의

직무충실화가 직무설계에 대한 원칙과 방향을 제시했다고 한다면, 직무특성이론은 그것을 보다 이론적으로 정교화 시키고 실천적 전략까지 제시한 제2의 직무충실화라고 볼 수 있다. 핵크만과 올드햄을 중심으로 한 직무특성이론은 1970년대 직무설계이론을 지배하였으며, 그에 대한 많은 이론적·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직무특성이론은 자아실현과 타인의 인정 등 상위욕구 충족을 겨냥하여 ‘직무의 특성’자체를 변화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고, 개인의 차이를 인정하여 조정변수로 ‘종업원의 성장욕구 강도’를 도입했다. 즉 직무특성이론에 따르면 직무특성(핵심직무차원)이 작업자에게 중요한 심리상태를 유발하게 하고 이로 인해 개인의 만족과 작업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며 그 결과는 개인의 성장욕구 강도에 따라서 달리질수 있다는 것이다.

(2) 핵심직무차원

① 기능다양성 : 특정 직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기능의 종류

② 과업정체성 : 현재 수행하는 직무와 생산하는 제품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

③ 과업중요성 :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직무가 최종 제품의 성공적 완성에 얼마나 중요한




[문서정보]


문서분량 : 7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직무설계(job design)에 대한 검토

파일이름 : 직무설계(job design)에 대한 검토.hwp

키워드 : 직무설계,job,design,검토,에,대한

자료No(pk) : 11036138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삶을 변화시키는 청소년 예배 Report KE

삶을 변화시키는 청소년 예배 Report 자료 (다운로드).zip 삶을 변화시키는 청소년 예배 삶을 변화시키는 청소년 예배에 대해 정리한 소논문 입니다. 소논문삶을변화시키는예배(청소년) Ⅰ. 서론 Ⅱ. 청소년 문화의 이해 Ⅲ. 청소년 예배의...

 
 
 
단체협약의 종료 관련 판례 연구 자료 SR

단체협약의 종료 관련 판례 연구 자료 파일.zip 단체협약의 종료 관련 판례 연구 단체협약의 종료 관련 판례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단체협약의종료관련주요판례 1. 단체협약의 종료관련 법리 2. 단체협약 종료 관련 주요 판례 1. 단체협약의...

 
 
 

Commenti


게시물: Blog2_Post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20 by unprod642.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