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다문화가정(다문화가족)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실천 방향 레포트 SI

  • unprod642
  • 2020년 12월 26일
  • 3분 분량

다문화가정(다문화가족)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실천 방향 레포트




다문화가정(다문화가족)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실천 방향


다문화가정(다문화가족)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실천 방향


다문화가정(다문화가족)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실천 방향


목차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복지실천 방향


I.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정 : 이주노동의 기본권 보장


II.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교육지원

1. 다문화 이해 교육과 포용력 신장 교육

2. 인권보호 및 사회통합 교육 정책

3. 교육소외 방지 교육정책

4. 인적자원 개발 교육정책


III.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양육지원


참고문헌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복지실천 방향


I.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정 : 이주아동의 기본권 보장


현재 다문화가족지원법은 부모 중 어느 한쪽이라도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이들에게만 각종지원의 혜택을 주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외국인근로자나 결혼이민자의 자녀가 우리 사회에 동화되지 않고 외국 출신 부모의 모국 문화에 동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는 동화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이 법에 따르면 이주노동자와 그 자녀들은 이 법의...다문화가정(다문화가족)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실천 방향


목차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복지실천 방향


I.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정 : 이주노동의 기본권 보장


II.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교육지원

1. 다문화 이해 교육과 포용력 신장 교육

2. 인권보호 및 사회통합 교육 정책

3. 교육소외 방지 교육정책

4. 인적자원 개발 교육정책


III.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양육지원


참고문헌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복지실천 방향


I.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정 : 이주아동의 기본권 보장


현재 다문화가족지원법은 부모 중 어느 한쪽이라도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이들에게만 각종지원의 혜택을 주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외국인근로자나 결혼이민자의 자녀가 우리 사회에 동화되지 않고 외국 출신 부모의 모국 문화에 동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는 동화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이 법에 따르면 이주노동자와 그 자녀들은 이 법의 혜택에서도 소외되고 있다. 이주아동들은 태어나자마자 `불법체류자` 및 `무국적자`가 된다. 이들은 보육지원의 부재, 초등학교까지만 보장되어 있는 교육권으로 불안한 학교생활, 체류권리와 의료보험 혜택의 부재로 고통을 받고 있다. 이에 2003년 1월 유엔 아동권리위원회는 한국 정부에 `모든 외국인 어린이에게도 한국 어린이들과 동등한 교육권을 보장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따라서 인권단체를 중심으로 이주아동의 한국에서의 체류권을 법적으로 보장하고 이주아동에 대한 인권, 교육권`, `사회권` 보장을 위한 `이주아동권리보장법` 제정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II.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교육지원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은 다양한 기관에서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나 중앙 지방 정부 민간단체 간 협력네트워크가 구축되지 못하여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적 지원과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부족하여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요 선진국에 비해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에 대한 사회적인식과 전문적인 지원체계가 잘 갖추어 있지 못하여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잠재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학교 중심의 다각적인 관련시책이 정비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교육과정 프로그램 및 한국어교육 자원의 부족으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체제가 되지 못하고 있다.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 교육을 대부분 학령기 아동보다는 미취학 자녀와 그 어머니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우리 교육이 좀 더 유연하게 작동하도록 바꾸는 노력이 필요하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다문화 이해 교육과 포용력(tolerance) 신장 교육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교육지원은 자문화중심주의(ethnocentrism)적 시각에서 탈피하여 타문화, 특히 비주류인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문화를 인정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정책이 되어야 한다.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모국 혹은 부나 모의 모국어나 문화, 혹은 신체적 특성 등을 스스럼없이 드러내고 관련 소양을 키워가는 가운데 이 사회에서 성공적인 살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2) 인권보호 및 사회통합 교육 정책


현행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정책은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여러 면에서 노력하고 있으나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볼 때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가진 공통적인 문제점인 `편견과 차별로 인한 학교 부적응`은 우리사회의 민족주의적 폐쇄성과 순혈주의적 정서와 맞물려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한국에서 건강하게 살기위해서는 우리사회의 학교와 지역사회가 이들이 적응할 수 있도록 사회환경과 교육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가정, 학교, 사회의 노력을 결집할 수 있는 학습여건, 교사역할 강화 등이 정책에 반영되어야 함




[문서정보]


문서분량 : 5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다문화가정(다문화가족)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실천 방향

파일이름 : 다문화가정(다문화가족) 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사회복지실천 방향.hwp

키워드 : 다문화가정,다문화가족,아동,위한,복지정책,사회복지실천,방향,아동을,및

자료No(pk) : 18122110

 
 
 

Comments


게시물: Blog2_Post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20 by unprod642.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