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프로그램계획과평가 올립니다 프로그램 기금 확보를 위한 프로포절 작성 전략 Report IN

  • unprod642
  • 2020년 12월 25일
  • 3분 분량

프로그램계획과평가 올립니다 프로그램 기금 확보를 위한 프로포절 작성 전략 Report




프로그램계획과평가 올립니다 프로그램 기금 확보를 위한 프로포절 작성 전략


[프로그램계획과평가] 프로그램 기금 확보를 위한 프로포절 작성 전략


프로그램 기금 확보를 위한

Proposal 작성 전략





I. 프로그램의 이해


1. 사회복지의 패러다임 전환


①시설복지에서 지역복지로의 전환

②공급자중심의 서비스에서 이용자중심의 서비스로의 전환

③욕구(need) 충족을 위한 복지에서 수요(demand) 충족을 위한 복지로의 전환

④클라이언트의 개념에서 소비자(consumer) 개념으로의 전환

⑤원조(help) 중심에서 자립(self-help) 중심으로의 전환

2. 책임성 있는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접근


후기 산업사회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중시되는 서비스 부문은 이전 사회에서의 서비스들과는 달리 ‘인간에 대한 서비스(human services)`와 ’전문적 서비스(professional services)`라는 특징이 있다. 즉, 자동화와 같은 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종래의 농업노동이나 단조롭고... 프로그램 기금 확보를 위한

Proposal 작성 전략





I. 프로그램의 이해


1. 사회복지의 패러다임 전환


①시설복지에서 지역복지로의 전환

②공급자중심의 서비스에서 이용자중심의 서비스로의 전환

③욕구(need) 충족을 위한 복지에서 수요(demand) 충족을 위한 복지로의 전환

④클라이언트의 개념에서 소비자(consumer) 개념으로의 전환

⑤원조(help) 중심에서 자립(self-help) 중심으로의 전환



2. 책임성 있는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접근


후기 산업사회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중시되는 서비스 부문은 이전 사회에서의 서비스들과는 달리 ‘인간에 대한 서비스(human services)`와 ’전문적 서비스(professional services)`라는 특징이 있다. 즉, 자동화와 같은 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종래의 농업노동이나 단조롭고 힘든 산업노동의 사회적 필요부분은 줄어들고 인간에 대한 서비스직종과 전문적 서비스직종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서비스들이 후기 산업사회의 가장 생산적인 업종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회복지서비스는 노동자들의 가족기능을 강화시켜줌으로써 생활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생산성의 향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앞으로 사회복지기관의 서비스는 전문성이 매우 중요한 평가의 기준이 된다. 한국사회복지관협회의 조사에 의하면 사회복지관의 프로그램 수는 평균 31.8개이며, 이 중 아동복지프로그램과 가정복지가 각각 7.5개와 7.2개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이들 프로그램의 대부분이 수익사업에 치중되어 있고, 아동학대 및 방임문제 상담 등에 대한 전문적인 사회복지서비스 등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는 사회복지관이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많으나 이를 운영하기 위한 예산이나 담당 전문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성 있는 사회복지사를 많이 확보하고 그들에 대한 훈련 및 재교육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나아가서 서비스의 전문성은 주민에 대한 책임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사회복지관에서 수행되는 사업들이 사회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위 사회적으로 인정된 목표(sanctioned goals)를 달성한다는 것을 보여줄 때 사회복지관의 정당성이 주어지며, 정당서에 입각하여 정부와 지역사회로부터 필요한 지원을 얻을 수 있게된다.

이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클라이언트 중심적인 사회복지행정”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행정의 대가 Patti는 클라이언트 중심모델 (client-centered model of management)의 기초는 구체적 서비스 목표와 기술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설계에서 시작된다고 주장한다. 이와 함께 정보체계개발, 직원훈련 및 잠재력 개발, 자원개발 및 할당 등이 합리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책임성 있는 행정이란 각 개인이나 단위 부서가 구체화된 목표를 달성에 책임을 지도록 구조화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강조는 측정 가능한 목표의 구체성이다. 따라서 사회복지기관의 실무자들이 책임성의 도전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기획과 분석에 필요한 능력을 개발하여야 한다. 특히 의미 있는 목표(meaningful goals)를 개발하고, 측정 가능한 세부목표(measurable objectives)를 규명하는 능력을 지녀야 한다. 나아가서 비용과 산출과의 관계에 있어 프로그램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사회복지 분야에서 프로그램 내용에 관심을 갖게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을 전문화하고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충실한 프로그램의 설계와 효율적인 관리만이 사회복지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에게 최상의 전문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사회복지기관의 목표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프로그램의 개발에 소홀했던 데는 몇 가지 불가피한 상황이 있었다.

첫째로 사회복지기관의 전문인력 부족을 들 수 있다. 사회복지 욕구가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전문적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산 부족으로 인해 민간기관에서 뿐 만 아니라 정부기관에서도 전문사회복지사의 확보가 항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은 과도한 업무 부담 때문에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에 노력할 여력이 없었다.

둘째로 클라이언트보다는 다른 영향력 있는 사람들에게 신경을 써야 하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클라이언트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소홀히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부기관이나 후원금을 제공하는 후원자 혹은 기업재단 등의 요구에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할지라도 예산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무의미하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들은 기금원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가 없다.

셋째는 기술적인 측면으로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기획이나 평가에 관한 기술이 발달하지 못한 것도 한 원인이다. 기존의 사회복지 교육은 거시적인 사회복지제도나 미시적인 임상방법에 주로 치중하여 중간적인 방법론 교육이 매우 미흡하였다. 따라서 제도와 임상을 연계해 주는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관리에 관한 기술이 제대로 축적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 향상이 사회복지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진 것인지를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들은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을 소홀히 하였다. 그리하여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이나 내용보다는 외적인 조건들, 즉 프로그램의 수, 프로그램의 참여자, 프로그램을 위한 자원개발 등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3. 프로그램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사회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각 단계는 일련의 구조적 특징과 발달단계상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프로그램 관리자들은 각 단계에




[문서정보]


문서분량 : 29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프로그램계획과평가 올립니다 프로그램 기금 확보를 위한 프로포절 작성 전략

파일이름 : [프로그램계획과평가] 프로그램 기금 확보를 위한 프로포절 작성 전략.hwp

키워드 : 프로그램계획과평,프로그램,기금,확보를,위한,프로포절,작성,전략,프로그램계획과평가,올립니다

자료No(pk) : 11044332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삶을 변화시키는 청소년 예배 Report KE

삶을 변화시키는 청소년 예배 Report 자료 (다운로드).zip 삶을 변화시키는 청소년 예배 삶을 변화시키는 청소년 예배에 대해 정리한 소논문 입니다. 소논문삶을변화시키는예배(청소년) Ⅰ. 서론 Ⅱ. 청소년 문화의 이해 Ⅲ. 청소년 예배의...

 
 
 
단체협약의 종료 관련 판례 연구 자료 SR

단체협약의 종료 관련 판례 연구 자료 파일.zip 단체협약의 종료 관련 판례 연구 단체협약의 종료 관련 판례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단체협약의종료관련주요판례 1. 단체협약의 종료관련 법리 2. 단체협약 종료 관련 주요 판례 1. 단체협약의...

 
 
 

Comments


게시물: Blog2_Post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20 by unprod642.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